맨위로가기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은 1976년 9월 6일 소련 방공군 소속 빅토르 벨렌코 중위가 몰고 온 MiG-25 전투기를 몰고 일본 하코다테 공항에 착륙하여 미국으로 망명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일본의 방공망 취약점이 드러났고, 항공자위대의 전력 증강과 방위 체계 개편을 가져왔다. 또한, 소련은 자국 군사 기술의 기밀 유출을 우려하여 대응책을 마련했으며, 미국은 MiG-25의 기술적 한계를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냉전 시대 군사적 긴장과 망명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발생했으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소련 - 루나 24호
    루나 24호는 1976년 소련이 발사한 달 표면 샘플 채취 무인 우주선으로, 위난의 바다 지역에서 토양 샘플 170.1g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했으며, 달 표면 물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했다.
  • 1976년 소련 - 1976년 하계 올림픽 소련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소련 선수단은 금메달 49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35개로 종합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하며 육상, 체조, 레슬링, 역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1976년 일본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76년 록히드 사건으로 정치 불안 속에 치러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과반수 의석을 획득하지 못하고 미키 내각이 사퇴했으며, 일본 사회당의 분열, 공명당의 약진, 일본 공산당의 의석 감소, 신자유클럽의 등장 등이 나타난 선거이다.
  • 1976년 일본 - 록히드 사건
    록히드 사건은 1970년대 록히드사가 항공기 판매를 위해 세계 각국 정치인과 군 관계자에게 거액의 뇌물을 제공한 사건으로, 미국 해외 부패 방지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으며, 서독,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등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련의 망명자 - 빅토르 스타루힌
    빅토르 스타루힌은 러시아 출신으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활약하며 노히트 노런, MVP 선정, 통산 200승 및 300승을 최초로 달성한 전설적인 투수이다.
  • 소련의 망명자 -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라트비아 출신의 미하일 바리시니코프는 소련 키로프 발레단에서 활동하다 미국으로 망명하여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와 뉴욕시티발레단의 수석 무용수로 명성을 얻었으며, ABT 예술감독, 화이트 오크 댄스 프로젝트 설립, 영화 출연, 바리시니코프 예술 센터 설립,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빅토르 벨렌코 망명 사건
사건 개요
명칭베렌코 중위 망명 사건
발생 장소홋카이도 하코다테 공항
발생 날짜1976년 9월 6일
사건 유형영공 침범, 강제 착륙, 망명 사건
원인 및 수단
동기망명
수단미그-25 전투기
관련자
주요 인물빅토르 벨렌코
피해 및 대응
대응홋카이도 경찰이 현장을 봉쇄하고, 벨렌코의 신병을 확보
MiG-25
MiG-25 폭스배트 요격기
베렌코 중위가 망명에 사용한 MiG-25P (동형기)

2. 사건의 경위

1976년 9월 6일, 소련 방공군 소속 MiG-25 전투기 한 기가 소련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의 추구예프카 공군기지에서 이륙하여 훈련공역으로 향하던 도중 갑자기 예상 경로를 이탈해 일본 쪽으로 빠르게 진입했다. 이것을 일본의 레이다가 오후 1시 30분 경 포착하여 F-4EJ 전투기가 요격을 위해 긴급 발진했다.

항공자위대는 지상의 레이다 기지와 공중의 F-4EJ로 MiG-25기를 수색했으나, 빅토르 벨렌코 중위의 MiG-25가 저공비행을 실시하자 지상의 레이다 기지는 무용지물이 되고 F-4EJ의 레이다는 상공에서 저공 목표를 탐지하는 능력(룩다운 능력)이 낮아 레이다상에서 완전히 사라지자 항공자위대는 혼란에 빠졌다. 1시 50분 경 다시 레이다 상에 나타난 벨렌코 중위의 MiG-25는 홋카이도 상공을 3번 주회하고 하코다테 공항에 착륙했다.

나중의 증언에서 빅토르 벨렌코는 저공비행으로 소련의 추적을 따돌린 뒤 항공자위대기에 의해 치토세 공항에 유도착륙을 할 예정이었으나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고 연료 문제로 인해 가까운 하코다테 공항에 비상착륙을 했다고 말했다. 당시 벨렌코 중위는 착륙지점을 잘못 판단해 활주로 중간 지점에서 착륙해서 250m나 오버런하면서 활주로 끝의 철조망을 돌파, 논바닥에서 겨우 멈추었다.

소련은 기체의 즉각 반환을 요구했으나 미국과 일본은 MiG-25를 분해해 항공 자위대의 엄호 속에 C-5 갤럭시 대형 수송기에 실어 도쿄 근처의 이바라키현 이바라키 공항으로 이송한 뒤 벨렌코 중위의 도움으로 기체를 면밀히 검사한 다음, 11월 15일 반환했다. 그 후 벨렌코 중위는 그의 희망대로 미국으로 망명했다.

2. 1. 벨렌코 중위의 망명

1976년 9월 6일, 소련 방공군 소속 빅토르 벨렌코 중위는 MiG-25 전투기를 몰고 추구예프카 공군기지에서 훈련 비행 중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에서 이륙하여 훈련공역으로 향하던 도중 갑자기 예상 경로를 이탈해 일본 쪽으로 빠르게 진입했다.[11] 일본의 레이더 기지는 오후 1시 10분 경 이를 포착했고, 항공자위대는 영공 침범 우려로 치토세 기지에서 F-4EJ를 스크램블 발진시켰다.[11]

항공자위대 F-4EJ 302 비행대대 소속
]]

항공자위대 F-4EJ


그러나 벨렌코 중위의 MiG-25가 저공비행을 실시하자 지상 레이더는 무용지물이 되었고, F-4EJ의 레이더는 룩다운 능력이 낮아 MiG-25를 탐지하지 못했다.[12] 벨렌코는 미군기로 오인되어 요격기가 오지 않았다고 증언했다.[12] 결국 MiG-25는 항공자위대에 탐지되지 않은 채 하코다테 시의 하코다테 공항에 접근했다.

1976년 하코다테 공항


하코다테 공항


벨렌코 중위는 하코다테 상공을 세 바퀴 선회한 후 오후 1시 50분경 하코다테 공항에 강제 착륙했다.[11] 착륙 과정에서 활주로 중간 지점에 접지하여 오버런했고, 드로그 낙하산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앞바퀴가 터지면서 활주로 끝 ILS 로컬라이저 안테나 앞에서 멈췄다. 당시 연료는 30분 정도밖에 남지 않은 긴박한 상황이었다. 착륙 당시 공항 부지 내에서 공사를 하던 현장 감독이 MiG-25를 촬영했지만, 벨렌코 중위는 군용 권총으로 공중에 위협 발사[13]하여 필름을 넘겨받았다. 벨렌코 중위는 저항 의사가 없음을 나타내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증언했다.

벨렌코 중위는 홋카이도 경찰의 임의 조사에서 미국으로의 망명을 요청[11]했으며, 처음에는 신치토세 공항을 목표로 했으나 날씨 때문에 하코다테 공항에 착륙했다고 진술했다. 소련은 즉각 벨렌코 중위와의 면회, 신병 및 기체의 조속한 인도를 요구했지만, 다음날 벨렌코 중위는 도쿄로 이송되었고, 미국은 망명을 수용했다.[11] 벨렌코 중위는 방위청의 조사를 거쳐 주일 소련 대사관 직원의 면담에도 불구하고 망명 의사를 굽히지 않았고, 결국 하네다 공항에서 노스웨스트 항공편으로 미국으로 출국했다.

2. 2. 일본과 미국의 대응

일본 항공자위대는 MiG-25를 포착했으나, 저공 비행으로 인해 요격에 실패했다.[11] 벨렌코가 일본 영공에 접근하기 전 고도를 올렸지만, "미군기로 오인하여 요격기가 오지 않았다"고 증언했다.[12] MiG-25 착륙 후, 항공 교통 관제사와 경찰, 자위대 간의 혼선으로 대응이 지연되었다. 홋카이도 경찰은 관할권을 주장하며 육상자위대원을 현장에서 내쫓았고, 치토세 기지에서 온 항공자위대원도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었다.

벨렌코 중위는 미국으로의 망명을 요청했고,[11] 미국은 이를 수용했다. 소련은 벨렌코와의 면담과 신병 인도를 요청했지만, 벨렌코는 노스웨스트 항공편으로 미국으로 출국했다. 일본 법무성은 MiG-25의 관할권을 방위청에 넘겼다.

소련은 벨렌코가 길을 잃었다고 주장했고, 일본이 그에게 약물을 투여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MiG-25의 즉시 반환을 요구하며, 이를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 어선들을 나포하고 선원들을 투옥했다.[7][8][9]

MiG-25는 미국과 일본의 전문가들에 의해 철저히 분석되었다. 일본은 MiG-25를 햐쿠리 공군 기지로 이송하여 분해 후 분석했고, 이후 소련에 반환했다. 소련은 약 20개의 부품이 없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소련군과 스페츠나츠 등이 기체를 파괴 또는 회수하러 온다는 소문이 퍼지자, 일본은 육상자위대, 항공자위대, 해상자위대를 동원하여 경계를 강화했다. 육상자위대는 하코다테 공항에 병력을 배치하고, 항공자위대는 F-4EJ 팬텀으로 24시간 전투초계비행을 실시했으며, 해상자위대는 동해와 태평양에 전투함정을 배치했다.

2. 3. 소련의 반응

소련은 벨렌코 중위와 MiG-25의 즉각적인 반환을 요구했다.[16] 소련은 기체 회수 또는 파괴를 위한 특수부대 투입을 계획하기도 했다.[12] 소련군(특수 부대 등)이 "기체를 되찾으러 올 것이다" 또는 "기밀 보전을 위해 파괴하러 올 것이다"라는 소문이 퍼졌고,[12] 실제로 소련 측은 잠수함에 헬리콥터와 스페츠나츠 요원을 탑재하여 일본에서 전개한 후 MiG-25를 파괴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12]

소비에트 연방 외무성으로부터 기체의 즉시 반환 요구가 있었고, 당시 최대 야당인 일본 사회당도 이에 동조했다.[16]

3. 벨렌코의 망명 배경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열악한 근무환경과 대우, 그리고 소련 고위층의 딸이었던 아내와의 불화"가 망명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벨렌코 중위는 소련 사회 체제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냉전 시대에는 양 진영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고, 잦은 망명 사건이 발생했다.[1][2] 미국은 물라 작전을 시작으로 북한 조종사들의 귀순을 장려했고, 중화민국은 귀순하는 중국 조종사들에게 금을 제공하기도 했다.[3] 미국의 패스트 버크 작전은 북베트남의 MiG-21 조종사의 귀순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 다이아몬드 작전은 패스트 버크 작전과 유사한 이스라엘 작전으로, 이라크 조종사가 그의 MiG-21과 함께 귀순하는 데 성공했다.

벨렌코 외에도, 1953년 3월과 5월에 두 명의 폴란드 공군 조종사가 MiG-15를 몰고 덴마크로 망명했다.[1][2] 1953년에는 북한 조종사 노금석이 그의 MiG-15를 대한민국의 미국 공군 기지로 몰고 갔다.[3] 이후 소련의 알렉산드르 주예프 대위는 1989년 5월 20일에 그의 MiG-29를 몰고 터키의 트라브존으로 갔다.[5]

3. 1. 개인적, 사회적 요인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열악한 근무환경과 대우, 그리고 소련 고위층의 딸이었던 아내와의 불화"가 망명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벨렌코 중위는 소련 사회 체제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냉전 시대의 특수성

냉전 시대에는 양 진영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고, 잦은 망명 사건이 발생했다.[1][2] 미국은 물라 작전을 시작으로 북한 조종사들의 귀순을 장려했고, 중화민국은 귀순하는 중국 조종사들에게 금을 제공하기도 했다.[3] 미국의 패스트 버크 작전은 북베트남의 MiG-21 조종사의 귀순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 다이아몬드 작전은 패스트 버크 작전과 유사한 이스라엘 작전으로, 이라크 조종사가 그의 MiG-21과 함께 귀순하는 데 성공했다.

벨렌코 외에도, 1953년 3월과 5월에 두 명의 폴란드 공군 조종사가 MiG-15를 몰고 덴마크로 망명했다.[1][2] 1953년에는 북한 조종사 노금석이 그의 MiG-15를 대한민국의 미국 공군 기지로 몰고 갔다.[3] 이후 소련의 알렉산드르 주예프 대위는 1989년 5월 20일에 그의 MiG-29를 몰고 터키의 트라브존으로 갔다.[5]

4. 사건의 영향

이 사건으로 일본의 방공망은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지적되었으며 방위논의가 완전히 바뀌어 항공자위대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지상 레이다 기지와 기존 F-4EJ는 대대적인 보수 및 개량을 받게 되었고 종래의 예산계획에는 없었던 E-2 호크아이 조기경보기의 구매가 인정되었으며 당시 최고의 조기경보통제기였던 E-3 센트리에 대한 구매도 검토되었고, 최종적으로 E-767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졌다.

한편, 소련 측은 아군기 식별 암호를 변경해야 했다. 또한 벨렌코 중위가 소속되어 있던 공군기지에 파견된 조사위원회는 조종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에 경악했으며, 곧 조종사들의 숙소와 그들의 자녀를 위한 학교 건설을 결정하는 등 처우가 대폭 개선되었다. 또한 이 사건에서 보여준 MiG-25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MiG-31의 개발을 서두르게 되었다.

하쿠리 기지로 이송된 MiG-25는 미국과 일본의 항공 전문가들에게 철저히 분석되었다. 서방세계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쌍발 터보제트 엔진을 탑재해 고도 6만 피트, 마하 3.2라고 제원이 공표된 이 최신예 전투기에 대해 막연한 공포를 갖고 있었으므로 펜타곤의 조사결과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미국은 지금까지 고성능 전투기로 알려져 두려워했던 MiG-25에 대항하기 위해 F-15를 개발했으나 실제로 생각보다 위험한 기체가 아니었음을 알게되었다. 특히 기체가 티타늄 합금이 아닌 스테인레스 철판을 사용했으며 진공관을 많이 사용한 전자기기가 당시의 수준으로 볼 때 시대에 뒤떨어지는 별 볼일 없는 수준이란 사실에 오히려 미국이 경악했을 정도였다.

4. 1. 군사적 측면

이 사건으로 일본의 방공망은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드러났으며, 방위 논의가 완전히 바뀌어 항공자위대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11] 지상 레이더 기지와 기존 F-4EJ는 대대적인 보수 및 개량을 받았고, E-2C 조기경보기의 구매가 승인되었다.[11] 일본은 MiG-25에 대응하기 위해 F-15를 구매했으며, F-4의 시스템도 업데이트하여 하방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소련은 아군기 식별 암호를 변경해야 했다.[10] 또한 MiG-25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MiG-31 개발을 서두르게 되었다.[10] 벨렌코의 귀순 이전에는 외부 세계는 MiG-25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지만, 이 사건으로 MiG-25의 기밀이 유출되어 알제리, 불가리아, 인도,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등 여러 국가로 수출될 수 있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조지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에서도 운용되었다.

MiG-25는 하쿠리 기지로 이송된 후 미국과 일본의 항공 전문가들에게 철저히 분석되었다. 미국은 고성능 전투기로 알려져 두려워했던 MiG-25가 티타늄 합금이 아닌 스테인레스 철판을 사용했으며, 진공관을 많이 사용한 전자기기가 시대에 뒤떨어지는 수준이라는 사실에 경악했다.[17] 미국은 MiG-25가 덜 진보된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안도했으며, MiG-25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F-15의 개발을 계속했다. MiG-25는 항공 전자 장비에 방사선 경화를 제공하기 위해 누비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0]

2003년에 포획된 이라크 공군 MiG-25


한편 소련 측은, 레이더 기지가 적과 아군 기체를 식별하는 암호, ЯСС(Я - свой)ru를 변경해야 했다. 또한, 이 사건의 조사를 위해 추구예프카 공군 기지를 방문한 위원회는, 현지의 열악한 생활 환경에 경악하여, 즉시 5층짜리 관사, 학교, 유치원 등을 건설하는 것을 결정했다. 이 사건은, 극동 지역을 시작으로 하는 국경부 공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파일럿의 대우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사건으로 인해 저고도 침투의 유효성과, 룩다운 능력이 낮은 전투기의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에, 해당 MiG-25를 시대에 뒤떨어지게 만드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초래했다. MiG-25는 고고도·고속 침투하는 적기의 요격이 주된 목적으로, 저고도 침투하는 적기에 대한 대처 능력은 F-4EJ보다 더욱 열악했기 때문이다. 후에 소련은, 대폭 개선된 MiG-31을 개발하게 된다.

4. 2. 정치적 측면

벨렌코 망명 사건은 냉전 시대 미소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한 요인이 되었다.[18][19] 소련은 MiG-25 반환과 더불어 손해 배상 1,000만 달러를 요구했고, 일본은 하코다테 공항 피해 및 운송 비용으로 4만 달러를 청구했으나 양측 모두 지불하지 않았다. 소련은 아군기 식별 암호를 변경하고, MiG-25의 단점을 보완한 MiG-31 개발을 서둘렀다. 또한 벨렌코가 소속되었던 공군 기지 조종사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처우를 대폭 향상시켰다.

일본은 자국 방공망의 취약점을 인식하고 방위 논의를 전면 재검토했다. 지상 레이더 기지와 F-4EJ를 대대적으로 보수 및 개량하고, E-2 호크아이 조기경보기를 구매했으며, E-3 센트리 및 E-767 조기경보통제기 구매를 검토, 결정하였다. 또한 맥도넬 더글러스 F-15 이글을 구매하여 하방 탐지 레이더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 사건은 일본의 방위력 강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을 통해, 대한민국은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자주국방 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의 외교/안보 정책 방향을 반영)

4. 3. 사회문화적 측면

이 사건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MiG-25를 소재로 한 다양한 창작물이 등장했다.[20][22] 하세가와 제작소는 사건 발생 5개월 후 "1/72 MiG-25 폭스배트" 프라모델을 판매하여 40만 개 이상을 판매했다.[20]

  • 쓰지 히토나리의 소설 『클라우디』에서는 이야기 시작 부분에서 주인공이 다니는 홋카이도 하코다테 니시 고등학교 상공을 벨렌코 기가 탑승한 MiG-25가 스쳐 지나갔으며, 그의 에세이집 『세계는 환상이 아니야』에는 벨렌코 중위의 인터뷰가 수록되었다.
  • 크레이그 토마스는 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에서 힌트를 얻어 소설 『파이어폭스』를 집필, 1977년에 출판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1982년에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
  • 사건 후에 제작된 애니메이션 영화 미래전쟁 198X년에서는 소련 공군의 보리스 중위가 최신예 전투기 "블랙 드래곤"으로 서독의 공군 기지에 강제 착륙하여 망명하는 내용이 나온다.
  •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단행본 20권에 수록된 에피소드 "한밤중의 파일럿!"에서는 소련의 소좌가 MiG-25 전투기로 일본에 망명을 시도하는 내용이, 198권에 수록된 "우리들의 비밀 기지"에서는 비행장에 군용기가 강제 착륙하여 파일럿이 망명을 희망하는 내용이 나온다.
  • 블랙 잭 제143화 "하늘에서 온 아이"는 사건 발생 11일 후 발표되었으며, 우란 연방의 공군 소좌와 아내가 외아들의 난치병을 치료받기 위해 VTOL 전투기 "레폴"로 일본에 착륙하는 내용이다.
  • 『M25 야쿠자 작전』에서는 소련 망명자가 조종하는 "M25"가 홋카이도에 착륙하고, 미군이 M25를 강탈하는 내용이 나온다.[22]

5. 사건 이후

빅토르 벨렌코는 망명 후 소련의 보복을 의식해 거주지와 이름을 수시로 바꾸면서 미국이나 CIA에 협력했다. 그는 현재 미국 아이오와주의 민간 항공 비행사에서 항공 엔지니어 및 항공 이벤트 컨설턴트 일을 하고 있다.

벨렌코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중앙정보국(CIA)과 미군으로부터 광범위한 심문을 받았고, 영어를 배우면서 점차 미국 생활에 적응했다. 그의 소련에서의 삶, 망명, 그리고 미국에서의 초기 시절에 대한 이야기는 존 배런에 의해 1980년에 출판된 책 ''미그 조종사: 벨렌코 중위의 최후 탈출''에 담겨있다. 벨렌코는 이후 미군 및 항공우주 산업의 컨설턴트, 강사, 사업가가 되었다. 그는 또한 미국인 여성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일본은 벨렌코의 망명이 공격이 아닌 귀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 방공 시스템의 단점을 인지하게 되었다. 레이더 추적 및 요격 실패는 일본 방어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왔다. 항공자위대는 그루먼 E-2 호크아이 공중 조기 경보기를 구매했고, 이후 하방 탐지 레이더 능력이 향상된 맥도넬 더글러스 F-15 이글을 구매했다. F-15 개발은 MiG-25의 성능에 대한 미국의 우려로 가속화되었다. 일본은 또한 F-4의 시스템을 개선하여 하방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소련은 MiG-25 주변의 기밀 유출로 인해 알제리, 불가리아, 인도,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등지로 수출하게 되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조지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에서도 운용되었다. 위원회는 추구예프카 공군 기지를 방문하여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로 결정하고, 러시아 극동 지역 조종사들의 처우를 개선했다. MiG-31 폭스하운드는 벨렌코의 귀순 당시 이미 개발 중이었고, 1975년 9월에 첫 비행을 했다. 벨렌코는 "슈퍼 폭스배트"에 대해 알고 있었고, 미국에 정보를 제공했다. MiG-31은 소련군과 러시아군에서 MiG-25를 점진적으로 대체했다.

미국은 MiG-25가 덜 진보된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안도했으며, MiG-25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F-15 개발을 계속했다. MiG-25는 항공 전자 장비에 방사선 경화를 제공하기 위해 누비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0] 미국은 1976년에는 벨렌코의 MiG-25P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이라크의 MiG-25를 획득했다.

5. 1. 벨렌코의 삶

빅토르 벨렌코는 망명 후 소련의 보복을 의식해 거주지와 이름을 수시로 바꾸면서 미국이나 CIA에 협력했다. 그는 현재 미국 아이오와주의 민간 항공 비행사에서 항공 엔지니어 및 항공 이벤트 컨설턴트 일을 하고 있다.

벨렌코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중앙정보국(CIA)과 미군으로부터 광범위한 심문을 받았고, 영어를 배우면서 점차 미국 생활에 적응했다. 그의 소련에서의 삶, 망명, 그리고 미국에서의 초기 시절에 대한 이야기는 존 배런에 의해 1980년에 출판된 책 ''미그 조종사: 벨렌코 중위의 최후 탈출''에 담겨있다. 벨렌코는 이후 미군 및 항공우주 산업의 컨설턴트, 강사, 사업가가 되었다. 그는 또한 미국인 여성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5. 2. 관련 국가들의 변화

일본은 벨렌코의 망명이 공격이 아닌 귀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 방공 시스템의 단점을 인지하게 되었다. 레이더 추적 및 요격 실패는 일본 방어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왔다. 항공자위대는 그루먼 E-2 호크아이 공중 조기 경보기를 구매했고, 이후 하방 탐지 레이더 능력이 향상된 맥도넬 더글러스 F-15 이글을 구매했다. F-15 개발은 MiG-25의 성능에 대한 미국의 우려로 가속화되었다. 일본은 또한 F-4의 시스템을 개선하여 하방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소련은 MiG-25 주변의 기밀 유출로 인해 알제리, 불가리아, 인도,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등지로 수출하게 되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조지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에서도 운용되었다. 위원회는 추구예프카 공군 기지를 방문하여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로 결정하고, 러시아 극동 지역 조종사들의 처우를 개선했다. MiG-31 폭스하운드는 벨렌코의 귀순 당시 이미 개발 중이었고, 1975년 9월에 첫 비행을 했다. 벨렌코는 "슈퍼 폭스배트"에 대해 알고 있었고, 미국에 정보를 제공했다. MiG-31은 소련군과 러시아군에서 MiG-25를 점진적으로 대체했다.

미국은 MiG-25가 덜 진보된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안도했으며, MiG-25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F-15 개발을 계속했다. MiG-25는 항공 전자 장비에 방사선 경화를 제공하기 위해 누비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0] 미국은 1976년에는 벨렌코의 MiG-25P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이라크의 MiG-25를 획득했다.

6. 한국의 입장과 교훈

참조

[1] 서적 Mr. MiG: And the Real Story of the First MIG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2
[2] 간행물 Canadian MiG Flights https://books.google[...] 2017-08-27
[3] 서적 A MiG-15 to Freedom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2013-09-22
[4] 웹사이트 Mikoyan-Gurevich MiG-15bis http://www.nationalm[...] 2017-08-25
[5] 뉴스 MiG returned to Soviet Union http://www.upi.com/A[...]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89-05-21
[6] 서적 MiG Pilot: The Final Escape of Lieutenant Belenko https://books.google[...] Avon Books 2020-04-28
[7] 뉴스 Russ Seize Japanese Fishermen http://archives.chic[...] 1976-09-13
[8] 뉴스 Pilot to remain in US, Red Persuasion Fails September 30, 1976 page 20 https://www.newspape[...] 2017-08-27
[9] 뉴스 Japan to Protest Fishing Ship Seizure October 8, 1976 page 53 https://www.newspape[...] 2017-08-28
[10] 문서 Nuvistor Valves
[11] 웹사이트 第4章 ミグ25事件 http://www.clearing.[...] 防衛庁 2021-10-17
[12] 뉴스 “ソ連軍が来る”ミグ25戦闘機の破壊計画 命令なしで動き始めた自衛隊 緊迫の歴史の舞台裏 https://news.ntv.co.[...] 2023-12-02
[13] 뉴스 旧ソ連の戦闘機「ミグ」、函館空港強行着陸から40年 混乱と恐怖、不測の事態に教訓 https://web.archive.[...] 2016-09-07
[14] 서적 ポリティコ・ミリタリーのすすめ 都市出版
[15] 웹사이트 『テレビ史を揺るがせた100の重大ニュース スクープ映像の舞台裏 今夜一挙公開』 http://www.tbs.co.jp[...] TBS 2016-04-10
[16] 웹사이트 NHK放送史 ミグ25 函館に強行着陸 https://www2.nhk.or.[...] NHK 2021-09-06
[17] 뉴스 ミグ25はスチール製 重さ、大型馬力でカバー 1976-09-21
[18] 뉴스 ミグ後、初の釈放 坊主頭で三船員帰る 1976-10-02
[19] 뉴스 「ビザの写しが未着」日航乗員の入国拒否 1976-10-02
[20] 서적 日本プラモデル50年史 1958-2008 文藝春秋社
[21] 웹사이트 "「ミグ25亡命事件の衝撃 ~米ソ冷戦 知られざる攻防~」 - アナザーストーリーズ 運命の分岐点 - NHK" https://www.nhk.jp/p[...] 2022-11-23
[22] 웹사이트 M25やくざ作戦 - メディア芸術データベース https://mediaarts-db[...] 2022-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